티스토리 뷰

가상 메모리를 실 메모리로 변환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일정 개수의 변환된 주소 값을 저장하여 놓는 공간

변환 색인 버퍼(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는 가상 메모리 주소를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캐시약칭은 TLB이다.[1] TLB는 최근에 일어난 가상 메모리 주소와 물리 주소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기 때문에 일종의 주소 변환 캐시라고 할 수 있다. TLB는 CPU와 CPU 캐시 사이, CPU 캐시와 메인 메모리 사이 등 여러가지 다른 레벨의 캐시들 사이에서 주소를 변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모든 데스크탑 및 서버용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LB를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에 가지고 있다. 페이지 단위나 세그먼트 단위로 처리하는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하드웨어는 TLB를 사용한다. CPU는 1차적으로 TLB에 접근하여 원하는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TLB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MMU의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한다

 

캐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적 CPU 메모리 캐시 그림 캐시(cache, 문화어: 캐쉬, 고속완충기, 고속완충기억기)는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를 가리킨다. 캐시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나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캐시는 시스템

ko.wikipedia.org

 

 

'디지털포렌식 2급 필기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시스템_디스크 공간 할당 기법  (0) 2019.10.14
Pagefile.sys(가상RAM)  (0) 2019.10.14
전자적 증거의 분석 기술  (0) 2019.10.10
Disk Imaging  (0) 2019.10.10
디지털포렌식 도구의 종류  (0) 2019.10.1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